Skip to main content

Google, evolved




구글이 로고를 바꿨다.
시원섭섭한 일이다.





크롬을 켰더니 특별한 날은 아닌 거 같은데 두들이 올라와 있더라.
끝까지 지켜보니 구글에서 로고를 바꾸면서 그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두들을 만든 것이었다.


(출처: Logo Spike)
원래 구글 로고는 이리 생겼다.
미묘한 게, 이게 점점 개선이 되어서 이리 바뀐 거지, 최후의 최후까지 자간도 좀 미묘하고, 전체적인 무게 균형도 좀 안 맞아서 고통받던 차였다.
알면 알수록 고통받는 로고라고 해야 하나...





그래서 바뀐 로고는 깔끔한 산세리프다.
그리고 전체적인 획 두께도 굵어졌다.

잘한 일인 게, 진짜 작은 화면으로 봤을 때 어느 한도 이상으로 작아지면 세리프는 세리프를 사용한 소용이 없다.
보이지도 않는 세리프.
그리고 잘못 고르면 범용성 있게 쓰기가 힘들다.
꼭 개성있는 걸 쓰고 싶어하지^^
그래서 어쩌다 한 번씩 친구들이 로고가 만들고 싶은데 어쩌지 하고 물어보면 산세리프/돋움을 아무래도 우선적으로 찾아보라고 하게 된다.

다만 파비콘? 인터넷 탭에 뜨는 그 아이콘이 너무 적응이 안된다.
생긴거는 GS 마크 같고 배색은 옛날부터 닮았다고 생각했는데 다음 같기도 하고... (물론 다르다)

딱 하나 아쉬운 건 제일 앞의 G는 여전히 좀 혼자 논다.
가운데 빈 공간이 많은 대문자 알파벳이다보니 좀 가벼워보인다.
물론 옛날 세리프 시절보다는 균형감이 훨씬 낫다.

허핑턴포스트에 올라온 기사를 보니 모바일 환경을 고려해서 그렇다고 하더라.
확실히 모바일 기기가 더 범용화되고 웹 기반 사업들이 다양한 모바일 환경을 고려하게 되면서 점점 단순해지고 기하학적으로 변해가는 느낌이다.




내가 딱 하나 아쉬운 건 이 아이콘도 로고가 바뀌면서 빠이빠이라는 거다.
내가 대문자 G는 안 좋아하지만 소문자 g는 진짜 귀엽고 재미있게 생긴 알파벳이라고 좋아하는데 이렇게 가다니ㅠㅠㅠㅠ
잘가여 산세리프 ;(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151229 중세 국어 지원 글꼴

무슨 전문가라서 쓰는 건 아니기 때문에 정확도가 매우 떨어질 것으로 생각한다. 내 전공은 영어인데 이상하게 주변 사람을 떠올려 보면 국어교육을 전공하는 사람이 많다. 그래서 컴퓨터로 정리한 노트 등을 한번씩 구경하는데, 보노라니 폰트가 나의 눈을 심히 괴롭게 하였다. 처음에는 왜 안 예쁜 폰트를 쓰는가 했는데, 이 단계에서 공부할 때는 세종대왕께오서 처음으로 한글을 창제하셨을 적부터 공부하니까 단어가 아주 스펙타클했다. 그 뒤로 감탄만 하다가, 필요한 일이 생겨서 한글과컴퓨터에서 지원하는 폰트를 슬쩍 정주행했다.

160610 EdX 강의 수강 후기

EdX 강의 수강 후기 2013년부터 수많은 MOOC 커뮤니티에 잠수를 타고 다녔다. 그러다가 올해에는 각심하고 드디어 강의를 끝내는데 성공했다. 사실 CS50에 도전하고 싶었지만 한 주가 다르게 난이도가 급상승하는데 따라가기 너무 힘들어서 HTML로 갈아탔다. 그리고 정말로 끝내는데 성공했다! 내가 끝낸 강의는 Project101x와 W3C의 X Series 강의 HTML5.0x다. 두 강의를 완강하는데 성공하면서 MOOC에 대해서 좀 더 알 수 있었다.

[Lifeline] 시작이라고 쳐놓고 글 쓰면서 하다가 끝남

(출처: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애플 앱스토어에서 지금, 롸잇 나우 금주의 무료 앱으로 뿌려주고 있다. 게임 몇 개 안 해 봤지만, 그 중에서 가장 신기한 형태의 게임이 아닐까 한다. 되게 웃긴데, 필요하다고 생각해본 적도 없던 스마트워치가 가지고 싶게 만드는 게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