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학교물은 잘 보지 않는다.
그래서 후회하는 것 중 하나가 디즈니 채널에서 하이스쿨 뮤지컬을 수시때때로 돌려줬건만 봐도 손발이 오그라들지 않을 때 보지 않았던 것이다.
하지만 내가 정말 좋아하는 학교물이 두 개 있다.
하나는 2006년작 억셉티드이고, 하나는 2009년에 나온 시리즈 커뮤니티이다.
억셉티드의 사우스 하몬 기술대학교와 커뮤니티의 그린데일 커뮤니티 칼리지는 자잘한 공통점이 있다.
그 중 하나는 개설과목이 개판이라는 거다.
전자는 학생들이 뭘 모르고 돈을 내놨지만 교육과정이 없으니 이렇게 된 김에 애들이 배우고 싶은 과목 만들어주자는 취지로 온갖 과목을 개설한다.
관음증, 무신론, 넋빼기 등등.
후자는 드라마가 시작하는 시점 전부터 총체적 난국이었다.
멀쩡한 과목도 있지만 방영된 에피소드 상에는 아무래도 개판인 과목이 더 많다.
인생을 즐기는 모습을 보여 줘야 A를 준다든가 놀고먹고 뻘영상 보면서 공으로 A를 뿌리는 과목도 있고 왜 개설 허가가 났는지 모를 땅따먹기나 사다리학 같은 수업이 있다.
그런데 사우스 하몬의 수업은 기상천외하더라도 학생들이 원해서 생긴 과목이고, 그린데일은 만들 수 있었기 때문에 만든 과목이다.
그걸 보면서 MOOC 생각이 난 게, 물론 저 두 학교에 개설된 과목에 비하면 미안할 정도로 훌륭한 퀄리티지만 과목 개설 기준을 종잡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하나하나는 정말 좋은 강좌인데, 과목 간 연계성이 많이 떨어진다.
예를 들면 얼마 전에 마케팅개론 수업을 하나 찾아서 들었는데, 그걸 듣고 나서 갈 곳이 없었다.
요즘은 시리즈 강의가 많이 기획되면서 나아졌지만, 여전히 커다란 교양대학 같다.
또 한번씩 보면 엄청나게 지엽적인 과목도 있었다.
제목도 이해가 안 되는 것도 있고, 상어의 생물다양성과 구조, 그리고 보존 그런 과목도 있었다.
그래서인지 강의 개설에 있어서 어떤 기준, 어떤 과정을 거쳐서 강의가 고안돼서 올라오는지 궁금하다.
그냥 플랫폼을 제공해주는 것인가, 아니면 중추기관이 있어 체계적으로 조율하는가는 그냥 플랫폼만 사용해서는 잘 느껴지지 않는다.
정말 학교처럼 대해야 할지, 아니면 플리마켓처럼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즐거움으로 대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
그래서 후회하는 것 중 하나가 디즈니 채널에서 하이스쿨 뮤지컬을 수시때때로 돌려줬건만 봐도 손발이 오그라들지 않을 때 보지 않았던 것이다.
하지만 내가 정말 좋아하는 학교물이 두 개 있다.
하나는 2006년작 억셉티드이고, 하나는 2009년에 나온 시리즈 커뮤니티이다.
억셉티드의 사우스 하몬 기술대학교와 커뮤니티의 그린데일 커뮤니티 칼리지는 자잘한 공통점이 있다.
그 중 하나는 개설과목이 개판이라는 거다.
전자는 학생들이 뭘 모르고 돈을 내놨지만 교육과정이 없으니 이렇게 된 김에 애들이 배우고 싶은 과목 만들어주자는 취지로 온갖 과목을 개설한다.
관음증, 무신론, 넋빼기 등등.
후자는 드라마가 시작하는 시점 전부터 총체적 난국이었다.
멀쩡한 과목도 있지만 방영된 에피소드 상에는 아무래도 개판인 과목이 더 많다.
인생을 즐기는 모습을 보여 줘야 A를 준다든가 놀고먹고 뻘영상 보면서 공으로 A를 뿌리는 과목도 있고 왜 개설 허가가 났는지 모를 땅따먹기나 사다리학 같은 수업이 있다.
그런데 사우스 하몬의 수업은 기상천외하더라도 학생들이 원해서 생긴 과목이고, 그린데일은 만들 수 있었기 때문에 만든 과목이다.
그걸 보면서 MOOC 생각이 난 게, 물론 저 두 학교에 개설된 과목에 비하면 미안할 정도로 훌륭한 퀄리티지만 과목 개설 기준을 종잡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하나하나는 정말 좋은 강좌인데, 과목 간 연계성이 많이 떨어진다.
예를 들면 얼마 전에 마케팅개론 수업을 하나 찾아서 들었는데, 그걸 듣고 나서 갈 곳이 없었다.
요즘은 시리즈 강의가 많이 기획되면서 나아졌지만, 여전히 커다란 교양대학 같다.
또 한번씩 보면 엄청나게 지엽적인 과목도 있었다.
제목도 이해가 안 되는 것도 있고, 상어의 생물다양성과 구조, 그리고 보존 그런 과목도 있었다.
그래서인지 강의 개설에 있어서 어떤 기준, 어떤 과정을 거쳐서 강의가 고안돼서 올라오는지 궁금하다.
그냥 플랫폼을 제공해주는 것인가, 아니면 중추기관이 있어 체계적으로 조율하는가는 그냥 플랫폼만 사용해서는 잘 느껴지지 않는다.
정말 학교처럼 대해야 할지, 아니면 플리마켓처럼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즐거움으로 대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