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Counting Stars & Follow Your Arrow





처음 들었을 때는 노래 가락이 좋아서 들었는데 이제 정말 인생의 주요 전환점이 임박한 즈음에 다시 들으니까 또 다른 느낌으로 다가오는 노래들이다.
이 두 노래의 메시지도 어찌 보면 속편한 소리 같겠지만 사실 너무 맞는 말이라서 할 말을 잃게 만든다.



1. Counting Stars, OneRepublic

이 노래는 정말 20대 중반이 들으면 와닿을 노래라고 생각한다.
특이하게 후렴구가 제일 먼저 시작하는데, 거기서부터 정말 취준생의 상황이다.
가지 않은 길에 대해서 꿈꾸면서 잠을 못 이루고 있는데, 돈에 쫓기기 보다는 별을 헤고 싶단다.
나이가 많다고 생각하지만 그렇게 나이가 많은 것도 아니고, 어리다고는 하는데 그렇게 용감하지도 못해서 지금 사회가 가망이 없다고 생각하는 건 아니지만 그냥 남들이 말하는 대로 살고 있다는 것이다.

와.

세상이 옳다, 편한 길이다, 하는 일보다는 안 좋다, 고생스럽다 하는 길이 어쩌면 더 옳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사실 요즘 내가 당장 마음이 불안하고 해서 특강이고 세미나고 취업 관련이라고 하면 가보는데, 딱 이렇다.
어른들이 직장을 정함에 있어서 조언해주는 말들이 있지만, 내가 과연 그걸 따라가면 평생을 질 높게 살수 있는 걸까 아니면 그냥 그게 안정적이기 때문에 별 생각없이 따라가려는 걸까 생각하게 된다.
그래서인지 갈당하는 화자의 이야기가 그렇게 다르게 느껴지지 않는다.


또 주목할 부분은, 영상의 주된 소재가 신앙이라는 점이다.
이런 말 잘 못하면 개같이 까일지도 모르니 조심해야지만 무신론적인 입장에서 종교의 근거는 개인의 강렬한 감정적 경험과 없음을 증명할 수 없다는 여지 때문이라고 한다.
종교만은 그것이 없음을 증명할 수 없기 때문에 존재한다.

종교를 믿는다는 행위를 까려는 게 아니고 그만큼 신앙이라는 개념에서 인간이 믿고자 해서 나오는 의지의 강렬함을 얘기하고 싶어서 얘기했다.
눈앞에 존재하기 때문에 나오는 믿음은 약한 거다.
성경에서 예수님이 살아돌아오시고 나서 제자 중 하나가 그랬다고 기억한다.
안 믿는 것보다야 낫지만 그래도 약한 건 약한 거다.

신앙은 보지 않고도 그 자체에 오롯한 열망으로 믿는다는 행위다.
인간의 믿음은 참으로 강렬해서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지만 현실을 바꾸고는 한다.
이 노래는 가사에 나오는 사람의 미래와 영상에서 나오는 종교의 강렬한 믿음을 연결하면서 용기가 나지 않는 그 망설임의 순간에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믿음으로 한번 달려가보라고 해주는 듯하다.

다만 악어는 왜 나오는지 모르겠다.
Rolling in the deep은 애초에 아무 연관이 없기라도 했지...


2. Follow Your Arrow, Kacey Murgraves
이 노래의 주 소재는 타인의 잣대다.
혼전순결을 지키면 쑥맥이고 그렇다고 안 지키면 가벼운 취급을 받는다, 통통하면 자기 관리가 부족한 거고 그래서 살을 빼면 약이라도 하는가 의심받는다 등 이래도 저래도 저울질 당하는 상황에 대해서 얘기한다.
노래하고 목소리는 가볍게 통통 튀는데 가사가 듣다 보면 억울해지는 이야기뿐이다.

그래서 이 노래에서 제시하는 해결책은 "Follow your arrow," 마음이 가는대로 따라가라고 한다.
이렇게 해서 한 소리 듣던, 저렇게 해서 한 소리 듣던, 결국 손가락질 당하는 건 똑같으니 말이다.


취업준비를 하다 보면 이러면 어떨까, 저러면 어떨까 하고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다가 아득해져서 남들이 가는 대로 따라가게 된다.
그래도 이렇게 멀리에서 원하는 꿈을 꾸라고 해주는 사람들도 있다는 걸 알면 좀 희망이 되지 않을까.

그냥 내가 이것저것 찾아보다 보니 답답해서 이 두 노래가 확 와닿더라.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151229 중세 국어 지원 글꼴

무슨 전문가라서 쓰는 건 아니기 때문에 정확도가 매우 떨어질 것으로 생각한다. 내 전공은 영어인데 이상하게 주변 사람을 떠올려 보면 국어교육을 전공하는 사람이 많다. 그래서 컴퓨터로 정리한 노트 등을 한번씩 구경하는데, 보노라니 폰트가 나의 눈을 심히 괴롭게 하였다. 처음에는 왜 안 예쁜 폰트를 쓰는가 했는데, 이 단계에서 공부할 때는 세종대왕께오서 처음으로 한글을 창제하셨을 적부터 공부하니까 단어가 아주 스펙타클했다. 그 뒤로 감탄만 하다가, 필요한 일이 생겨서 한글과컴퓨터에서 지원하는 폰트를 슬쩍 정주행했다.

160610 EdX 강의 수강 후기

EdX 강의 수강 후기 2013년부터 수많은 MOOC 커뮤니티에 잠수를 타고 다녔다. 그러다가 올해에는 각심하고 드디어 강의를 끝내는데 성공했다. 사실 CS50에 도전하고 싶었지만 한 주가 다르게 난이도가 급상승하는데 따라가기 너무 힘들어서 HTML로 갈아탔다. 그리고 정말로 끝내는데 성공했다! 내가 끝낸 강의는 Project101x와 W3C의 X Series 강의 HTML5.0x다. 두 강의를 완강하는데 성공하면서 MOOC에 대해서 좀 더 알 수 있었다.

[Lifeline] 시작이라고 쳐놓고 글 쓰면서 하다가 끝남

(출처: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애플 앱스토어에서 지금, 롸잇 나우 금주의 무료 앱으로 뿌려주고 있다. 게임 몇 개 안 해 봤지만, 그 중에서 가장 신기한 형태의 게임이 아닐까 한다. 되게 웃긴데, 필요하다고 생각해본 적도 없던 스마트워치가 가지고 싶게 만드는 게임이다.